벌써 2월도 코 앞, 다가오는 2월 4일은 입춘, 봄의 시작이죠^^
본디 농경사회였던 대부분의 동아시아 국가에서는, 이렇듯 입춘을 비롯해, 24개의 절기를 나누어 정해, 계절의 변화에 따라 농사를 지어왔죠.
물론, 같은 동아시아 국가들이라 해도, 위치에 따라, 날씨에 따라 달라지긴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24절기는, 농경사회로 시작된 많은 나라에 꼭 필요한 기준점이었달 수 있는데요.
그렇다면, 2020년 24절기는 각각 며칠인지, 음력 날짜와 양력날짜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0년 24절기는 언제??
본디 24절기는,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개의 계절의 시작점,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을 기준점으로 구분됩니다.
크게 네가지로 나눈 이후, 다시 한번 홀수번째는 "절"로, 짝수번째는 "중"으로 표시하는 것이 24절기의 표시범이랄 수 있겠는데요, 좀 더 쉽게 이야기해본다면, 보름마다 절기가 바뀌는 일종의 "달력"인 셈이죠.
또한, 24절기의 경우, 음력이 아닌 양력을 기준으로 잡기 때문에, 하루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거의 늘 비슷하게 결정됩니다.
2020년 24절기 양력, 음력 날짜와 의미
봄
2020년 봄에 해당하는 24절기 중 6절기입니다.
다가오는 2월 4일을 입춘을 기점으로 봄이 시작되며, 3월 5일 경칩은,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날이라고 알려져 있죠.
그리고 3월 20일, 춘분을 기점으로 낮의 길이가 길어지며, 4월 4일 청명이면 드디어 농사를 준비, 농사를 짓기 좋도록 비가 내리는 시점인 4월 19일 곡우를 기점으로, 24절기 중 봄의 6절기가 마무리 됩니다.
1. 입춘 - 2020년 2월 4일(음력 2020년 1월 11일)
2. 우수 - 2020년 2월 19일(음력 2020년 1월 26일)
3. 경칩 - 2020년 3월 5일(음력 2020년 2월 11일)
4. 춘분 - 2020년 3월 20일(음력 2020년 2월 26일)
5. 청명 - 2020년 4월 4일(음력 2020년 3월 12일)
6. 곡우 - 2020년 4월 19일(음력 2020년 3월 27일)
여름
이번에는 2020년 여름에 해당하는 24절기 중 6절기를 알아보도록 하죠.
올해 2020년 여름의 시작인 입하는 양력으로 5월 5일 입니다. (실제로 이쯤 되면 꽤나 날씨가 덥죠^^;;)
그리고 농사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시기인 소만은 5월 20일.
씨를 뿌리는 망종(6월 5일)을 지나, 드디어 낮이 가장 긴 시기인 하지(6월 21일)이 됩니다.
그리고, 본격 더위의 시작은 소서, 7월 7일이며, 더위가 최고조에 달하는 시기는 7월 22일 대서라고 할 수 있죠.
1. 입하 - 2020년 5월 5일(음력 2020년 4월 13일)
2. 소만 - 2020년 5월 20일(음력 2020년 4월 28일)
3. 망종 - 2020년 6월 5일(음력 2020년 4월 14일(윤4월)
4. 하지 - 2020년 6월 21일(음력 2020년 5월 1일)
5. 소서 - 2020년 7월 7일(음력 2020년 5월 17일)
6 대서 - 2020년 7월 22일(음력 2020년 6월 2일)
가을
2020년 가을, 24절기 중 6절기는 이렇습니다.
가을의 시작인 입추는, 2020년 8월 7일, 헌데 사실 요즘처럼 더위가 심한 여름이라면, 올해의 입추도, 입추같지는 않을 것 같단 생각이 드는군요^^;;
어쨋든, 일교차가 비교적 커지면서 환절기 감기에 조심해야 하는 기점인 처서는 8월 23일 입니다.
그리고 9월 7일, 이슬이 내리기 시작하는 백로와, 밤이 슬슬 길어지기 시작하는 9월 22일 추분을 지나게 되면, 서서히 가을의 쌀쌀함이 느껴지죠.
찬 이슬이 내리며, 제대로 추위를 실감할 수 있게 하는 10월 8일의 한로를 지나, 10월 23일 상강이 되면, 비로소 서리가 내리는, 겨울로 가는 문이 열리게 됩니다.
1. 입추 - 2020년 8월 7일(음력 2020년 6월 18일)
2. 처서 - 2020년 8월 23일(음력 2020년 7월 5일)
3. 백로 - 2020년 9월 7일(음력 2020년 7월 20일)
4. 추분 - 2020년 9월 22일(음력 2020년 8월 6일)
5. 한로 - 2020년 10월 8일(음력 2020년 8월 22일)
6. 상강 - 2020년 10월 23일(음력 2020년 9월 7일)
겨울
마지막 계절인 2020년의 겨울, 24절기 중 마지막 6절기입니다.
11월 7일은, 겨울의 시작인 입동입니다.
이후, 얼음이 얼기 시작한다는 11월 22일, 소설을 지나, 제대로 겨울을 알릴 정도의 눈이 내리는 대설, 12월 7일을 지나면서 본격 겨울이 시작되죠.
그리고 밤이 가장 길다고 알려진 동지는 12월 21일이며, 특히 겨울 중 가장 추운 겨울로 표현할 수 있는 소한과 대한이, 2021년 1월 6일, 2021년 1월 20일에 각각 있습니다.
1. 입동 - 2020년 11월 7일(음력 2020년 9월 22일)
2. 소설 - 2020년 11월 22일(음력 2020년 10월 8일)
3. 대설 - 2020년 12월 7일(음력 2020년 10월 23일)
4. 동지 - 2020년 12월 21일(음력 2020년 11월 7일)
5. 소한 - 2021년 1월 6일(음력 2020년 11월 22일)
6. 대한 - 2021년 1월 20일(음력 2020년 12월 8일)
여기까지, 2020년의 24절기를, 양력과 음력으로 각각 정리해 보았습니다.
사실, 많은 분들께서 24절기에 대해 "음력"일 것이라고 잘못 생각하고 계시더라구요.
하여, 2020년도 시작되었고, 또 다가오는 2월 4일이면 봄의 시작인 입춘이기도 하기에, 겸사겸사 2020년 24절기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뭐 요즘에야, 농법이 발전되었기 때문에, 예전만큼 24절기가 중요하지 않을 수 있죠.
허나, 그래도 여전히, 시골에서는 24절기를 기준삼아 농사를 지내는 분들이 계십니다.
또한, 누가 뭐라 하더라도 사람의 힘으로 4계절을 바꿀 수는 없는 노릇이죠.
허니, 간단하게나마, 24절기를 어떻게 나누는지, 날짜는 어떠한지 알아 두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댓글